정보

주례 있는 결혼식 vs 주례 없는 결혼식 한눈에 보는 예식 식순과 멘트

주례 있는 결혼식 vs 주례 없는 결혼식 한눈에 보는 예식 식순과 멘트

결혼식의 형태는 두 가지로 나뉩니다. 하나는 전통적인 ‘주례 있는 결혼식’,

또 하나는 요즘 대세인 ‘주례 없는 결혼식(셀프 웨딩, 사회자 중심 식) 입니다.

어떤 스타일이든 신랑신부의 가치관과 예식 분위기에 맞추면 충분히 의미 있는 결혼식이 될 수 있어요.

지금부터 각각의 식순과 분위기를 자세히 살펴볼게요

👰 주례 있는 결혼식 식순

💡 전통적인 형식으로 예식장이나 교회, 호텔 등에서 많이 진행됩니다.

🔹 식순 예시

1. 개식 선언

2. 신랑 입장

3. 신부 입장

4. 혼인 서약

5. 성혼 선언문 낭독

6. 주례사

7. 예물 교환

8. 양가 부모님 인사

9. 폐식 선언

💬식순별 멘트 예시

• 개식 선언

“지금부터 신랑 ○○○ 군과 신부 △△△ 양의 결혼식을 거행하겠습니다.”

• 혼인 서약

“신랑과 신부는 평생을 함께할 부부로서 서로를 존중하고 사랑할 것을 맹세합니다.”

• 주례사

“오늘 이 두 사람이 새로운 가정을 이루게 되었습니다. 부디 서로의 인생을 존중하며 함께 성장하길 바랍니다.”

• 폐식 선언

“이상으로 신랑 ○○○ 군과 신부 △△△ 양의 결혼식을 모두 마치겠습니다.”

🤵 주례 없는 결혼식 식순

💡 요즘 가장 인기 있는 형식으로, 사회자가 주도하고 신랑신부 중심으로 진행됩니다.

주례 대신 축사·편지 낭독·축가 등으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아요.

🔹 식순 예시

1. 개식 선언

2. 신랑 입장

3. 신부 입장

4. 맞절 (또는 부모님께 인사)

5. 혼인 서약

6. 축사 or 영상 편지

7. 축가

8. 행진

💬 식순별 멘트 예시

• 개식 선언

“오늘 이 자리는 신랑과 신부가 서로를 인생의 반려자로 선택한 소중한 날입니다. 따뜻한 박수로 함께 축하해 주세요.”

• 혼인 서약

“신랑 ○○○ 군은 신부 △△△ 양을 사랑과 존중으로 대할 것을 맹세합니까?”

“네, 맹세합니다.”

• 축사 or 영상 편지

“신랑 신부가 함께 걸어갈 길에, 여러분의 축하와 응원의 마음을 담아 축하의 말씀을 드립니다.”

• 행진

“지금 이 순간부터 두 사람은 한 가정의 부부로서 첫 걸음을 내딛습니다.

신랑 신부의 아름다운 앞날을 위해 큰 박수 부탁드립니다!”

💡 어떤 식이 더 좋을까?

주례 있는 결혼식 vs 주례 없는 결혼식

격식 있고 전통적 vs 자유롭고 감성적

예식장 진행자 중심 vs 사회자/신랑신부 중심

20~30분 내외 vs 15~25분 내외

어른 하객이 많고 정중한  vs 친구·지인 위주의 캐주얼한 예식

💍 마무리 : 진짜 중요한 건 “형식보다 진심”

결혼식의 목적은 ‘사랑의 약속’을 증명하는 순간입니다.

주례가 있든 없든, 중요한 건 신랑신부가 원하는 방식으로 진심이 담긴 예식을 하는 거예요.

💡 팁

요즘은 주례 없는 예식을 선택하더라도, 사회자 멘트만 깔끔히 정리하면

훨씬 안정적이고 감동적인 예식이 될 수 있어요

결혼식 식순 준비가 어렵다면, 다이렉트결혼준비를 통해 예식 진행부터 사회자 멘트까지

다양한 자료를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!

👉👉다이렉트결혼준비 식순자료 바로가기

연관 상품 보기
No items found.
No items found.
No items found.
No items found.
No items found.